다이어트에 중요한 포인트는 식단의 질을 개선하는거에요. 운동도 중요하지만 운동만 한다고 몸이 좋아지는게 아니더라고요. 운동과 적절한 식습관관리가 같이 함께해야지 몸이 건강해지거든요.
다이어트에 도움을 주는 식품 솔루션 첫번째는 가을 과일입니다.
가을 과일로 배와 사과대추인데요 10월과 11월엔 가을하면 빼놓을수 없는 과일이 사과대추입니다. 사과대추속 성분으로 비타민C 리코펜, 베타카로틴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활성산소 제거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사과대추 속 칼슘이 지방의 흡수를 막아 체지방 분해에 도움을 줍니다.
아삭한 식감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배는 배 100g을 기준으로 약 8~9g의 당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당이 적고 포만감을 주기 때문에 다이어트에 도움이 됩니다. 근력에 중요한 배 100g을 기준으로 약 128,mg의 칼륨이 들어있기 때문에 더욱 좋다고해요.
두번째 식품은 중년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나잇살고민을 해결해줄 식재료입니다. 나이가 들면 자연적으로 신진대사가 떨어지고 체중증가는 물론 중증 질환의 원인이 되는게 나잇살이에요. 쉽게 빠지지 않는 만큼 건강한 감량이 중요합니다. 바로 도움을 주는 식품이 돌외잎이라고해요.
울릉도, 제주도등 남쪽 지방 섬에서 자생하는 덩굴식물인 돌외는 참외나 울외과 같은 박과식물로 작은 흑록색 열매가 자라며 보통 잎을 말려 차로 끓여 먹는다고해요.
돌외잎의 효능
돌외잎의 효능으로 비만, 고혈압, 염증 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해요. 과체중 성인 그룹에게 12주간 돌외잎 추출 분말을 섭취시킨 결과 체중, 체지방이 감소하고 체질량지수도 줄고 허리둘레, 엉덩이둘레가 모두 감소했다고해요. 돌외잎을 섭취하지 않고 다이어트를 한 그룹의 경우 복부지방이 약 2.8cm 감소했다고해요. 돌외잎 추출물을 섭취한 그룹의 경우 복부지방이 약 20.9가 감소했다고해요. 약 7배정도가 차이나는 결과죠.
돌외잎이 다이어트에 도움되는 이유는 돌외잎에 들어있는 항염, 황산화에 도움이 되는 사포닌 성분이 다물린A, 다물린B가 AMPK 효소를 활성화시킨다고해요. AMPK 효소는 기초대사량, 신진대사를 높여 체지방과 콜레스테롤이 몸에 쌓이지 않게 도와주는 단백질 효소입니다. AMPK 효소 활성화는 운동스위치를 켜는거에요. 돌외잎을 섭취하는 걸로도 약 30분간 러닝머신을 뛰는 것과 비슷한 효과가 나타난다고해요.
한의학에서는 칠엽담또는 덩굴차로 불리는 돌외잎은 만성 기관지염, 가래, 소염해독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해요. 구황본초 속 돌외잎은 사람이 섭취해도 해가 없다고해요. 뿌리, 줄기, 잎, 꽃 부위가 차나 술 혹은 약용으로 쓰이고 비만 치료는 물론 제2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완화에 도움이 되고 스트레스 완화에도 좋다고해요.
만성 스트레스를 앓고 있는 국내 성인 72명에게 돌외잎 추출물을 섭취시킨 결과 스트레스, 불안장애를 완화했다고해요. 비교적 다이어트와도 찰떡궁합인 돌외잎은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을 높이는 원인인 불안장애를 좋아하는 보충제로도 활용된다고해요. 돌외잎 주성분이 제페노사이드, 플라보노이드, 카로티노이드로 항산화 항균활성이에요.
돌외잎의 또 다른 효능으로 항산화, 항균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피부 개선을 위한 화장품 신소재로도 사용된다고해요. 돌외잎은 피부 각질 세포와 손상완화 가능성을 발견했고, 활성산소로 인해 손상된 피부 세포에서도 항산화 화장품 원료로 가능성이 발견되었다고해요.
돌외잎 섭취법.
돌외잎 차 만드는 법.
물 100ml에 돌외잎 추출 분말 450mg을 잘 섞어주세요.
섭취시 주의사항은 AMPK 효소 활성화하는 다물린 에이 함유 여부확인이 필요합니다. 식약처인증인 건강기능식품 마크를 확인하고 돌외잎 추출분말 하루 섭취 권장량은 약 450mg 입니다. 다물린 에이 하루 섭취 권장량은 약 5.4mg 입니다. 하루 섭취 권장량 이상으로 드실 경우 위장장애가 발생할수 있으니 주의해 주세요.
돌외잎 추출물에 함유된 칼슘, 비타민D 그래서 고칼슘혈증이 있거나 당뇨, 고지혈증과 같은 기저질환이 있을 경우 주치의와 상의후 섭취해주세요. 임신부, 수유부, 어린이, 영유아의 경우 섭취에 주이가 필요하다고해요.
<출처: channel A 나는몸신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