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지수는 음식을 섭취한 뒤 혈당이 상승하는 속도를 0에서 100까지 나타낸 수치인데 다시 정리한 엄지 표 당뇨 피라미드.
고구마는 당지수만 본다면 좋아요. 하지만 고칼로리 식품이에요. 감자가 당지수가 90이지만 70kcal에요. 고구마는 당지수는 55지만 154kcal입니다. 결국 고구마와 감자는 당뇨가 있다면 자제해야 합니다. 그리고 조리법에 따라 고구마의 당지수가 달라지는데 생고구마는 당지수가 55인데 군고구마는 90 이상이라고 해요. 군고구마 1개는 밥 2/3 공기와 같아요.
당뇨환자라면 조심해야 하는 과일, 바로 바나나인데 배고플때 간식으로 많이 먹지만 너무 달아요. 숙성도에 따라 당지수가 올라가는 바나나, 원래 당지수는 40~70인데 숙성이 잘된 바나나는 당지수가 70 이상이에요. 그래서 당뇨 환자는 절대 금물이라고 해요.
수박의 당지수는 72로 당뇨환자의 과일 섭취법은 단맛보다는 신맛이 좋고 과육이 단단한 과일이 좋습니다. 그리고 과일은 껍질째 먹는 걸로 선택하면 좋습니다.
복숭아는 복숭아도 숙성도에 따라 당지수가 달라지는데 딱딱 복숭아는 당지수가 40, 말랑 복숭아는 당지수가 55에요.
고추의 당지수는 26으로 고추는 죄가 없습니다. 매운 고추는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소화효소 분비를 늘려 식욕을 증가시킵니다.
명란젓도 조심해야 합니다. 미국인 당뇨의 원인은 과도한 붉은 육류 섭취인데 한국은 평균 미달에 해당된다고 해요.
탄수화물 대신 살코기 위주로 섭취를 추천하고 베이컨은 탄수화물은 없지만 나트륨 포화지방 칼로리를 높인다고 해요.
당지수는 2006년 시드니대학교에서 제안한 개념이에요. 우리나라와 맞지 않으니 다시 재편성한 당뇨 피라미드입니다.
당뇨에 위험한 식품군은 고구마, 바나나, 밀가루, 마가린, 명란젓, 베이컨
주의해야 할 식품군은 말랑 복숭아, 매운 고추, 현미, 호박, 안전한 식품은 고기, 고등어 토마토, 통밀빵이라고 해요.
재료를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먹느냐도 중요합니다. 혈당 잡는 피라미드 밥상은 아래에서 위로 먹는 거예요. 초록 칸, 노란칸, 빨간칸 이렇게 아래에서 위로 순서대로 식사를 하면 된다고해요. 초록칸은 혈당을 천천히 올려주는 음식이에요. 초록칸 음식을 섭취하면 인슐린 반응속도가 낮아져 포만감이 좋압니다. 결국 혈당 높이는 음식 섭취는 줄어들게 되죠.
포만감을 유발하는 건 채소예요. 국물은 먹지 말고 건더기 위주로 미역 냉채를 먹고, 미역줄기 볶음. 백김치, 하지만 염분이 높은 김치는 적게 먹기, 그다음은 단백질 두부, 탄수화물인 잡채와 현미밥 중엔 현미밥으로, 그리고 기름이 많은 삼겹살은 제일 마지막에 조금 먹는 게 좋다고 해요.
복잡하게 생각하지 않으셔도 돼요. 보통 식사 순서가 밥, 국, 반찬인데 식사 순서를 거꾸로 채소, 고기 밥 순으로 먹으면 됩니다. 채소와 고기를 약간 남겨 밥과 함께 반찬으로 섭취하면 됩니다.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해 보세요.
향신료와 식초로 맛이 없다면 맛이 있는 걸 넣어주면 해결돼요. 당뇨인 마법의 가루 대체품은 향신료입니다. 다양한 향신료로 다른 맛의 닭고기 섭취가 가능해요. 향신료를 활용해 다양하고 새로운 맛을 즐겨주세요.
그리고 식초는 그 자체로도 혈당 관리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일본 가나가와현립 보건복지대 2003에 따르면 쌀밥과 오이식초를 먹었더니 식후 혈당에 도움이 되었다고 해요. 고탄수화물 식사 전 식촐르 마시게 했더니 인슐린 민감성이 34% 향상되었다고 해요.
<출처: MBN 엄지의 제왕>
댓글